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프림알고리즘
- 시나공정보처리기사
- Korean-NLP
- 1주차완료
- package-install
- 알고리즘
- 코딩테스트
- AIFFEL
- Ai
- 코딩테스트대비
- 시간복잡도
- 백준알고리즘2920번
- 파이썬
- 최단거리알고리즘
- 트리구조
- 퀵정렬
- DFS알고리즘
- BFS알고리즘
- 패스트캠퍼스
- 인강
- 자료구조
- FastCampus
- 코딩테스트인강
- nqueen
- 연결리스트
- 내돈내산
- 환급챌린지
- 작심삼개월
- 크루스칼알고리즘
- 해쉬테이블
Archives
- Today
- Total
DevLog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7주차 ② 병합정렬 본문
알고리즘/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 Online
고급 정렬 알고리즘 - 03. 병합 정렬 - 2
고급 정렬 알고리즘 - 04.병합 정렬 - 3
고급 정렬 알고리즘 - 05.병합 정렬 - 4
역대급으로 짧았던 강의
공채 시즌에 지쳐가던 중 잠시 쉬어가는 강의 느낌이었다.
파이팅
병합 정렬의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아래 링크에서 보면 이해가 쉽다.
다양한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주는데,
눈으로 잘 따라가면 이해가 훨씬 수월하다.
알고리즘 이해
- 데이터가 네 개 일 때 (데이터 개수에 따라 복잡도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네 개로 바로 로직을 이해해보자.)
- 예: data_list = [1, 9, 3, 2]
- 먼저 [1, 9], [3, 2]로 나누고
- 다시 앞부분은 [1], [9]로 나누고
- 다시 정렬해서 합친다. [1, 9]
- 다음 [3, 2]는 [3], [2]로 나누고
- 다시 정렬해서 합친다 [2, 3]
- 이제 [1, 9]와 [2, 3]을 합친다.
- 1 < 2이니 [1]
- 9 > 2 이니 [1, 2]
- 9 > 3이니 [1, 2, 3]
- 9 밖에 없으니, [1, 2, 3, 9]
- 예: data_list = [1, 9, 3, 2]
알고리즘 구현
- mergesplit 함수 만들기
- 만약 리스트 개수가 한 개이면 해당 값 리턴
- 그렇지 않으면, 리스트를 앞뒤, 두 개로 나누기
- left = mergesplit(앞)
- right = mergesplit(뒤)
- merge(left, right)
- merge 함수 만들기
- 리스트 변수 하나 만들기 (sorted)
- left_index, right_index = 0
- while left_index < len(left) or right_index < len(right):
- 만약 left_index 나 right_index 가 이미 left 또는 right 리스트를 다 순회했다면, 그 반대쪽 데이터를 그대로 넣고, 해당 인덱스 1 증가
- if left [left_index] < right[right_index]:
- sorted.append(left[left_index])
- left_index += 1
- else:
- sorted.append(right[right_index])
- right_index += 1
(강사님의 수업 방식이 좋은 점 중 하나는 이렇게, 로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각 부분에 맞는 코드를 구현하는 것이다.)
재귀 용법 활용하기
def mergesplit(data):
if len(data) <= 1:
return data
medium = int(len(data) / 2)
left = mergesplit(data[:medium])
right = mergesplit(data[medium:])
return merge(left, right)
알고리즘 분석
- 알고리즘 분석은 쉽지 않음, 이 부분은 참고로만 알아두자.
- 다음을 보고 이해해보자
- 몇 단계 깊이까지 만들어지는지를 depth라고 하고 i로 놓자. 맨 위 단계는 0으로 놓자.
- 다음 그림에서 n/2222는 2단계 깊이라고 해보자.
- 각 단계에 있는 하나의 노드 안의 리스트 길이는 n/2222 가 된다.
- 각 단계에는 2𝑖2i 개의 노드가 있다.
- 따라서, 각 단계는 항상 2𝑖∗𝑛2𝑖=𝑂(𝑛)2i∗n2i=O(n)
- 단계는 항상 𝑙𝑜𝑔2𝑛log2n 개 만큼 만들어짐, 시간 복잡도는 결국 O(log n), 2는 역시 상수이므로 삭제
- 따라서, 단계별 시간 복잡도 O(n) * O(log n) = O(n log n)
- 몇 단계 깊이까지 만들어지는지를 depth라고 하고 i로 놓자. 맨 위 단계는 0으로 놓자.
- 다음을 보고 이해해보자
정렬 알고리즘에 들어오고 나서는 시간 복잡도가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는 느낌이다.
코딩 테스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속도는 항상 중요한 것이기 때문인 거겠지.
이제 챌린지도 어느새 절반을 지나 후반으로 달려가고 있다.
바쁜 시기가 찾아오면서 점점 강의에 지치기도 하고,
우선순위에서 밀려 주말 학습이 많아지고 있지만
그래도 끝까지 해내고 싶다.
[패스트캠퍼스 100% 환급 챌린지 미션 중입니다.]
'IT 개발 > Algorithm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8주차 ② 순차 탐색, 그래프 (0) | 2021.04.11 |
---|---|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8주차 ① 이진 탐색 (0) | 2021.04.10 |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7주차 ① 동적 계획법, 퀵 정렬, 병합 정렬 (0) | 2021.04.03 |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6주차 ② 재귀용법 (0) | 2021.03.28 |
[패스트캠퍼스 :: 코딩테스트 인강] 6주차 ① 선택정렬, 삽입정렬 (0) | 2021.03.27 |